용어·약어 검색

FAQ 검색
FAQ 검색

용어 목록

  1. Q

    운용형태종합(OMS : Operational Mode Summary)

    체계가 운용임무를 수행하기 위하여 사용할 예상방법을 서술한 것으로서 전시 작전지속 시간동안의 모든 형태별 운용시간 및 상대적 발생빈도를 고려하여 산출한다.

  2. Q

    임무유형(MP : Mission Profile)

    여러 전투상황에서 체계가 수행해야 할 임무. 사격발수, 주행거리, 통신시간 등 운용임무 형태별 필수임무 기능 및 量 을 나타낸다.

  3. Q

    위험도부호(SHSC : Safety Hazard Severity Code)

    품목의 각고장 유형별로 손실정도에 따라 할당되는 한자리부호로서, 이 부호는 설계결함 또는 품목고장으로 인한 최악의 잠재적결과에 대한 정성적 척도를 제공한다. ※MIL-STD-882/1629A에 따른 위험도 분류는 다음과 같다. Level1 재난:사망 또는 체계손실을 일으키는 고장 1Level 2치명: 임무손실을 초래하는 주요 체계손상, 심각한 상해, 중요 자산손상을 일으킬 수 있는 고장 Level 3 보통 : 지연, 가용도 저하나 임무저하를 야기하는 경미한 체계손상, 경상을 일으킬 수 있는 고장 Level4 경미 : 상해, 자산손상 또는 체계 손상을 일으킬 정도로 심각하지 않는 고장이지만 비계획정비 또는 수리를 요하는 고장

  4. Q

    유용수명(Useful Life Longevity)

    고장률이 규정된 값보다 낮은 시간의 길이를 말한다.

  5. Q

    응용연구

    기초연구결과를 군사적 문제의 해결책으로 전환하기 위하여 실험적 환경하에서 기술의 타당성과 실용성을 입증하는 연구단계를 말한다.

  6. Q

    인가저장목록(ASL : Authorized Stockage List)

    보급지원시설부대에서 현 보급운용을 지속하고, 장차 예측되는 소요를 충당하기위하여 항시 저장하도록 인가된 보급품의 총 목록을 말한다.

  7. Q

    일반분해목록(GBL : General Breakdown List)

    분해 대상품목의 세부 목록으로 생산을 위한 부품의 분해도를 기준으로 하드웨어 품목에 대한 LSA, SMR 부호, 비군사화부호, 중요도부호 및 생산자부호, 분석대상품목의 수량정보, 단가정보 등을 제공한다. GBL은 SOLOMON 체계 양식을 활용하고 사업특성을 고려 일부 조정이 가능하다.

  8. Q

    일반지원정비(H : Heavy, General Support, 4계단 정비)

    야전정비 개념으로 특수공구를 사용하여 구성품 또는 결합체의 전반적인 수리 및 내부 부품수리를 수행하는 정비를 말한다. 장시간이 소요되거나 고도의 기술이 요구되며 주요 구성품의 정비가 수행된다.

  9. Q

    임무단계 부호(MPC : Mission Phase Code)

    임무단계/운용형태를 식별하도록 정부기관에 의해 부여된 한 자리 부호로 ‘A ~ Z ’, ‘0 ~ 9 ’, ‘* ’를 사용한다. ‘* ’는 모든 임무단계에 적용할 수 있다.

  10. Q

    임무 적합성 점검(TAC : Task Adequacy Check)

    ILS 산출물에 대해 개발기관 주관으로 개발시험평가 前에 군 요구조건 및 체계개발계획서 충족여부를 개발시험평가 방법 및 절차와 동일하게 점검하는 과정이다.

  11. Q

    임무필수품목

    CSP 운용기간 동안 소요 발생이 예상되지 않으나 일정지원 시설 이상에 1개씩 보급되는 품목으로서 OASIS 적용과는 별도로 임무특성을 고려 확보해야 한다.

  12. Q

    임무효과도

    운영유지단계에 임무 달성 정도를 확인하는데 그 달성도를 말한다. 대표적인 방법은 M&S로써 이를 통해서 교전간 피아우열지수 등을 도출한다.

  13. Q

    작전운용성능(ROC : Required Operational Capability)

    군사전략 목표 달성을 위해 획득이 요구되는 무기체계의 운용개념을 충족시킬 수있는 성능수준과 무기체계 능력을 제시한 것을 말한다. 주요 작전운용성능과 기술적 ․ 부수적 운용성능으로 구분되며, 이는 연구개발 또는 국외도입 무기체계의 획득을 위한 시험평가의 기준이 된다.

  14. Q

    전력화평가

    무기체계의 배치 후 1년 이내에 각종 작전 환경하에서의 전술적 운용을 통해 최초 기획단계에서 설정된 수준의 작전운용성능 및 전력화지원요소 등의 달성정도를 소요군에서 확인․평가하는 것을 말한다.

  15. Q

    전력화 지원요소

    무기체계 획득시 야전배치와 동시에 전력화할 수 있도록 발전시켜야 할 교리 ․ 편성 ․ 교육훈련 등 전투발전요소와 종합군수지원요소를 말한다.

LINETECHENG
용어/약어 검색 돋보기
Copyright 2019 LINETECHENG All Rights Reserved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