용어·약어 검색

FAQ 검색
FAQ 검색

용어 목록

  1. Q

    전장관리정보체계

    무기체계 중 정보를 수집, 가공, 전달, 전시하는 기능들을 수행하는 컴퓨터 ․ 소프트웨어 ․ 데이터 ․ 통신수단이 통합되어 그 기능을 발휘하는 소프트웨어 중심의 체계로서 범용컴퓨터를 활용하는 체계를 말한다. 다만, 무기체계의 일부로 포함된 특수목적의 컴퓨터에서 수행하는 내장형 소프트웨어는 제외한다.

  2. Q

    절충교역(Off-Set)

    외국으로부터 군수품을 획득할 때 외국 계약자에게 기술이전 및 부품 역수출 등 일정한 반대급부를 요구하는 조건부교역으로서 현금지급이 아닌 절충교역 가치(Offset Value)로 인정하는 것을 말하며, 이는 획득하고자 하는 군용물자와 관련된 기술이전 및 부품수출에 관한 직접절충교역과 획득하고자 하는 군용물자와 직접 관련이 없는 간접절충교역의 두가지 형태로 구분한다.

  3. Q

    정부 및 업체 등록부호(CAGE : Commercial And Goverment Entity Code)

    H4/H8 계열의 목록집에서 수록된 품목의 설계 통제기관, 혹은 실질 제조자에 대하여 정부가 부여한 5자리 부호이다.

  4. Q

    정비기록관리제도(TAMMS : The Army Maintenance Management System)

    정비를 경제적이고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하여 부대 배치에서 폐기까지 이력, 운용, 정비제원을 기록유지하고 장비별 획득된 데이터를 종합, 분석, 활용하는 제도이다.

  5. Q정비대충장비(M/F : Maintenance Float)

    지원정비시설에서 적시성 있는 정비가 불가할 때 정비의 공백기간을 충당하기 위하여 확보하는 장비로서, 즉각적인 전투지원태세를 유지하기 위해 운용되는 여유분의 무기체계(장비)이다.

  6. Q

    정비업무 분포도(MTD : Maintenance Task Distribution)

    수리가능 품목이 특정 정비계단에서 수리될 비율(%)로 정비계단에 따라 세부항목으로 구분된다.

  7. Q

    정비인시

    정비작업 시 정비병의 기술수준을 숙련공(1.00), 준숙련공(0.75), 미숙련공(0.5)으로 분류하여 정비할 수 있는 작업량을 표시하는 측정단위를 말한다. 숙련공 1명이 1시간 동안 실시하는 작업량을 1인시라고 정의한다.

  8. Q

    정비할당

    각 정비계단으로 정비업무를 나누는 행위이다. RCM 분석결과를 기입하며 RCM 논리를 적용한 결과로서, 고장유형에 대하여 적합하다고 판단된 정비사항을 구성하여 기입한다.

  9. Q

    정비할당표(MAC : Maintenance Allocation Chart)

    정비근무(검사, 수리, 재생, 교환)에 대한 제대별 사용 공구 및 장비정비시간(소요인시)을 장비별로 작성 기술교범의 부록으로 수록된 것을 말한다.

  10. Q

    제안서

    제안요청서에 명시된 무기체계 등을 공급하기 위한 생산(연구개발을 포함한다), 품질보증, 형상관리, 일정관리 등의 계획과 관련 기술자료를 제안하는 문서를 말한다.

  11. Q

    제안요청서(RFP : Request For Proposal)

    구매대상 무기체계의 시험평가 또는 무기체계 연구개발을 위한 주관기관 선정을 위하여 관련업체의 기술자료, 공급(연구개발)계획, 일정 등의 제안을 요청하는 문서를 말한다.

  12. Q

    조립생산

     기술도입생산의 한 형태로서 외국과 계약에 의하여 부품이나 구성품을 도입하여 이를 국내 기술진이 조립하여 생산하는 것을 말하며, 조립하는 구성품 단위에 따라 완전 조립생산과 부분 조립생산으로 구분한다.

  13. Q

    조립수준 부호(Indenture Code)

    체계에 대하여는 ‘A’, 체계구성품은 ‘B’, 조립체는 ‘C’, 하부조립체는 ‘D’와 같이 체계 혹은 완제품, 구성품, 조립체 및 하부조립체에 대하여 하향식 조립계통도상의 각 품목 간 관계를 나타내는 부호이다.

  14. Q

    종합군수지원(ILS : Integrated Logistics Support)

    장비의 효율적이고 경제적인 군수지원을 보장하기 위하여 소요제기 시부터 설계 ․ 개발 ․ 획득 ․ 운용 및 폐기 시까지 전 과정에 걸쳐 제반 군수지원요소를 종합적으로 관리하는 활동이다.

  15. Q

    종합군수지원계획서(ILS-P : Integrated Logistics Support Plan)

    종합군수지원 업무수행과 체계적인 관리를 위한 전반적인 계획문서로서, 종합군수지원요소, 획득 단계별로 달성해야 할 업무, 주관 및 관련부서별 임무, 임무달성을 위한 세부 일정 계획과 예산, 시험평가 및 군수지원분석 계획 등이 포함된다.

LINETECHENG
용어/약어 검색 돋보기
Copyright 2019 LINETECHENG All Rights Reserved.